술을 한 입만 마셔도 얼굴이 새빨갛게 변해버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적당히 붉어지는 것이 아니라 눈에 띌 정도로 변화가 보인다면 조심해야만 합니다. 놀랍게도 이는 몸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된다는 적신호를 보내는 것이기 때문인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알코올 분해 능력의 부족
술을 마셨을 때 얼굴이 붉어지는 것은 몸 속 알코올 분해 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알코올은 체내에 들어오면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독성물질로 바뀌게 되는데요. 우리 신체가 이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알데이드 분해요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인들은 유전적으로 이 효소가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요. 알데이드 분해요소가 부족한 사람들은 독성물질 배출을 위해서 혈액순환이 촉진되면서 얼굴이 붉어집니다. 얼굴에 다수의 모세혈관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할 수 있어요.
2. 각종 질병 발병 위험
이처럼 술을 마실 때 얼굴이 쉽게 빨개지는 사람이라면 과도한 음주를 피해야만 합니다. 아세트알데이드가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계속 남아 각종 질환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아세트 알데이드는 활성산소를 만들어 세포를 손상시키는 등,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요.
음주로 인한 안면 홍조를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고혈압이 발생할 위험이 훨씬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하였습니다. 심지어 누적된 음주로 뒤늦게 안면홍조가 생긴 사람일 경우 더욱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아세트알데이드 분해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대장암 발병 위험이 6배나 높다고 합니다.
3. 하얘지는 사람도 주의
술을 마시고 얼굴이 붉어졌다가도 금세 창백해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이 깼다고 오해하고는 하는데요. 사실 알코올 민감도가 떨어져 몸의 반응이 둔해진 것입니다. 즉 처음 들어온 알코올에 민감하게 반응하다가, 지속적으로 들어오자 적응해버려 덜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과음을 했다는 지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원래 얼굴색으로 돌아왔다고 안심해서 술을 더 마셔서는 안 됩니다.
4. 술마실 때 섭취해야 하는 것은
술을 마셨을 때 얼굴색이 변하는 사람은 과음이나 폭음을 자제해야 합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하루 적정 음주량을 남자의 경우 소주 4잔, 여자의 경우 소주 2잔 미만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술을 마실 때 물을 자주 마시면서 체내 알코올 농도를 낮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주는 아세트알데이드 분해를 돕는 토마토, 콩나물, 오이 등의 식재료가 포함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식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기름, 들기름 냉장 보관해도 될까? (0) | 2022.12.20 |
---|---|
카페인이 들어있는 뜻밖의 식품들! (1) | 2022.12.15 |
무거운 가방이 초등학생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2.12.14 |
마스크팩 최대 효과를 위한다면 (0) | 2022.12.13 |
겨울철 뜨거운 물로 샤워하지 마세요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