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영하권에서 올라오지 않고 있는 요즘입니다. 하늘에서는 눈도 계속해서 쏟아지고 있는데요. 추워진 날씨에 많은 사람들은 각종 난방용품을 사용하여 차가워진 몸을 따뜻하게 데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핫팩이나 온열 난로, 전기장판 등 난방용품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피부 건강을 망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만 하는데요.
1. 피부건조증
겨울철 건조한 날씨에 과도한 난방을 사용할 경우, 피부건조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피부건조증이란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 비늘처럼 갈라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데요. 정도에 따라서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도 있고, 심할 경우 습진이나 아토피 피부염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2. 열성홍반/혈관확장
난로나 핫팩 등 온열제품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열성홍반과 혈관확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열에 장기간 노출되면서 피부가 자극을 받아서 생기는 것인데요. 열성홍반의 경우 붉은 반점과 색소 침착으로 나타나며, 주로 여성분들의 다리 부위에 나타납니다.
혈관확장은 열 자극을 받아 혈류량이 증가하면서 피부가 붉어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자극이 없어지면 혈관도 돌아오지만, 안면홍조 등 피부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회복이 느려지기 때문에 주의해야만 합니다.
3. 저온화상
전열기를 오래도록 켜둘 경우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는데요. 저온화상이란 40에서 7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 노출되어 있을 때, 피부 손상이 누적되면서 입는 화상을 말합니다. 고온에 일시적으로 노출되어 입는 일반 화상과 달리 저온화상은 40도가 넘는 온수매트에 1시간 이상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고는 하는데요.
저온화상은 대부분 통증이 없거나 증상이 경미해 즉시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어린 아이나 노년층은 더욱 주의를 해야합니다.
4. 예방법
피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습제와 로션을 주기적으로 사용하면서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습기를 사용하는 등 실내 습도를 유지해주면서 건조함을 해소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난로를 사용할 때는 1미터 가량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지식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취, 가장 효과적인 해소방법은? (0) | 2022.12.28 |
---|---|
감기와 폐렴 구분하는 방법 (0) | 2022.12.27 |
겨울철 건조해진 손 올바른 관리법 (0) | 2022.12.26 |
동짓날 팥의 효능과 팥죽 만들기 꿀팁 (0) | 2022.12.22 |
잘못된 샤워 습관 5가지 (1) | 2022.12.21 |
댓글